Surprise Me!

[아는기자]尹, ‘개혁 완수’ 의지…의료계 반응은?

2024-04-01 2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유승진 기자, 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<br>Q1. 유 기자,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볼게요. 대통령이 오늘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뭔가요?<br> <br>크게 두 가지가 섞여있다보니 무엇이 방점이냐 헷갈리실만도 한데요. <br> <br>일단 야권과 의료계의 비판에 반박을 했습니다.<br> <br>크게 세 가지입니다. <br><br>2천명이라는 증원 숫자를 주먹구구식으로 정한 거 아니냐는 비판에 근거를 하나하나 읊었습니다. <br> <br>매년 배출하는 수가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은 만 명 안팎인데, 우리나라는 3000여 명 수준이라는 겁니다. <br><br>이 근거 대는데만 담화의 13분, 전체 4분의 1을 썼습니다. <br> <br>의료계와 협의하지 않고 밀어붙이기만 한다는 의료계 주장도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각종 협의 기구를 통해 37번 협의를 했다며 협의 과정을 세세하게 다 밝혔습니다. <br><br>선거용이라는 의료계를 향해서도 "국민 생명과 건강이 걸린 문제다, 유불리를 따질 수 없다"며 반박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화물노조와 맞서 싸웠던 불법 카르텔 사례를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총선용 후퇴는 없다는 거죠. <br><br>Q2. 일단 원칙에 변화 없다, 결의에 찬 모습이네요.<br> <br>에피스드 하나 전해드리면요.<br> <br>오늘 대통령이 아침에 직접 골랐다는 넥타이 보여주실까요. <br><br>취임식 때 맨 넥타이가 똑같습니다. <br> <br>본인을 대통령으로 뽑아준 건 이런 개혁을 완수하라는 것이니 그걸 기억하기 위해서라고 하더라고요.<br><br>Q3. 그럼 달라진 게 없는 건가요?<br> <br>그렇진 않습니다. <br> <br>핵심은 이겁니다. <br><br>증원 규모 조정도 처음으로 열어놨습니다.<br> <br>의료계가 타당한 안을 가져오면 얼마든지 논의하겠다고요.<br> <br>2천 명 증원 규모를 과학적 근거로 정했으니 자신있다는 것과 동시에 대통령은 참모들에게 "의료계가 의견을 가지고 오면 논의해서 더 좋으면 바꿀 수 있다"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실제 대통령 낮은 자세를 강조했습니다. <br><br>[대국민 담화] <br>"저와 정부는 더욱 자세를 낮추고 우리 사회의 약자와 국민 여러분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겠습니다."<br><br>Q4. 대통령이 공을 의료계에 던졌는데 오늘 나온 의료계 입장은 무엇인가요<br> <br>앞서 보신 리포트대로 의료계 반응은 싸늘했습니다.<br><br>대통령실은 증원 수치도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고 밝혔지만, 의료계는 대통령이 한발도 물러서지 않을 것으로 해석했습니다. <br><br>임현택 의협 차기 회장은 "입장 없음이 공식 입장"이라고 했고요. <br> <br>방재승 전국의대교수 비대위원장도 "정부는 사태를 해결할 의지도 능력도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"고 비꼬았습니다. <br> <br>전 서울대의대 교수 비대위원장이었던 정진행 분당서울대 교수는 "통일된 안은 정부가 제시해야 마땅하다"며 공을 다시 대통령에게 넘겼습니다.<br> <br>의료계는 윤 대통령의 발언 중 특히 이 발언에 대해 불쾌감을 드러냈습니다. <br><br>[대국민 담화] <br>"현재 우리나라 의사들의 평균 소득은 OECD 국가들 가운데 1위입니다. 20년 후에 의사가 2만 명이 더 늘어서 수입이 줄어들 것이라는 의사들의 걱정은 기우에 불과합니다."<br> <br>의사를 돈만 쫓는 이익집단처럼 보이게 했다는 주장입니다, 의사협회는 바로 오후 기자회견에, "그동안 의대 증원을 놓고 수입과 관련된 언급을 한 적이 없다"며 "반박할 이유도 없다"고 일축했습니다. <br><br>이것 말고도요, "의사들의 직역 카르텔은 갈수록 공고해졌다" "국민의 목숨 가치가 그것밖에 안되는지 반문할 수밖에 없다"<br> <br>의료계의 집단행동을 꼬집은 윤 대통령의 발언들에 의사들의 불평이 쏟아졌습니다. <br><br>Q5. 더 나은 통일된 안이 나올 순 있긴 한겁니까?<br> <br>의료계 내부엔 다양한 단체가 있죠, 전공의 단체는 "증원 전면 백지화"를 주장하고 있고요.<br><br>대한의사협회 새 집행부는 도리어 "의대 정원을 최대 천 명 감축해야 한다"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국 의대교수 비대위도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고요. <br> <br>반면 전국 40개 대학 중 39개 대학이 참여하는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는 "통일된 안이 나올 것이다"라며, 대화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.<br> <br>이 전의교협은 지금 온라인 총회를 열고 있습니다. <br><br>서울대의대 비대위도 조금뒤 총회를 여는데요, 윤 대통령의 제안에 대해 어떤 의견을 취합해 내놓을 지 주목됩니다. <br><br>Q6. 총선이 9일 남았잖아요.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?<br> <br>총선 변수가 있는 오늘 대통령 담화를 여야 모두 주목하고 있었거든요. <br><br>일단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, 그동안 증원를 규모 포함해서 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본인의 요구를 대통령이 받아들였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총선 전에 의료 공백을 해결했으면 했던 수도권 후보들은 아쉽다는 반응도 많았습니다.<br><br>서울 마포갑에 출마하는 조정훈 의원은 "국민 목소리를 들으려는 강한 의지가 느껴졌다"고 평가한 반면, 인천 동미추홀을에 출마하는 윤상현 의원은 "이해관계자들을 직접 찾아가겠다는 등 구체적인 해법이 제시되지 않아 안타까웠다"고 했습니다.<br> <br>민주당도 사실 예의주시했는데요. <br><br>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어젯밤 담화 소식이 알려지자 "일요일 한밤의 대통령 긴급담화 예고라니, 수차 지적했던 예측대로?"라는 글을 올렸습니다.<br><br>의료계의 의견을 전향적으로 받아들여서 해결을 할 경우 역시 총선용 쇼였다고 공격할 채비를 했던 건데요. <br><br>대통령의 담화가 의료 공백 해결까지 이르지 못하자, 오늘 담화 이후 "여전히 심각하게 생각 안 하는 것 같다, 엄하게 심판해달라"며 심판론에 불을 붙였습니다.<br> <br>의료개혁 필요성 공감하는 국민, 의정갈등 장기화에 피로감 느끼는 국민이 공존하는 만큼 표심이 어떻게 흐를지 쉽게 가늠하기 어렵다는 게 정치권 반응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유승진, 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